2023. 7. 17. 00:44ㆍ영단어의잡지식
하늘에서 내리는 비는 무엇인가?
하늘에서 내리는 비란 물의 증발과 응결, 강수의 과정을 거친 물방울이나 빙정 입니다. 비는 구름이 되고, 구름은 빗방울이 되어 다시 땅으로 돌아오는 물 순환의 일부이고, 비는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구름으로 응결되고, 그 구름이 더 이상 수증기를 버티지 못하면 떨어지게 된다. 비는 눈, 우박, 진눈깨비와 같은 다른 강수 형태와 구별되고, 비는 액체 상태의 물방울로 내리지만, 눈은 고체 상태의 빙정으로 내리게 됩니다. 우박은 얼음덩어리로 내리고, 진눈깨비는 눈이 녹아서 비와 섞여 내리거나 비와 눈이 함께 내리는 현상입니다. 비는 강약에 따라 가랑비, 보슬비, 소나기비, 호우 등으로 나뉘어져. 가랑비는 매우 가벼운 비를 말하고, 보슬비는 조금 무거운 비를 뜻합니다. 소나기비는 갑자기 많이 쏟아지는 비를 말하고, 호우는 오랫동안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뜻하게 됩니다.
장마란 무엇인가?
장마는 '여름철 여러 날 동안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현상 또는 날씨'를 말합니다. 장마의 어원은 '길다'라는 의미의 한자어인 '장'과 비를 의미하는 '마'를 합성한 '댱마'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장마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체전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를 장마전선이라고 합니다. 장마전선은 두 고기압의 세력에 따라 남북으로 오르내리며 비를 뿌리게 되고, 때로는 폭우로 큰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장마 기간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입니다.
한국의 장마는 언제 시작되며 언제 끝나는가?
한국의 장마란 여름철 가장 많은 비가 집중되는 기간을 말합니다. 장마는 보통 6월 중순 후반에 제주도 지방으로부터 시작해서 7월 하순 초반에 중부지방까지 이르게 되고, 장마 기간은 대략 30일 내외로 진행됩니다. 비가 내리는 날은 장마 기간의 절반 정도인 15~20일 정도 됩니다. 장마의 시작과 종료 시기는 매년 달라질 수 는 있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큰 장마 피해는?
1. 2020년 7월 9일부터 8월 9일까지 '47일간' 지속된 역대급 장마로 인해 전국에서 '사망 31명, 실종 11명, 부상 8명' 등 총 '5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전남 곡성ㆍ구례와 경남 하동에서 섬진강댐 방류로 인해 제방이 무너지고 마을이 물에 잠기는 등 큰 피해가 있었습니다.
2. 2021년 7월 9일부터 16일까지 '8일간' 내린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에서 '사망 26명, 실종 10명, 부상 13명' 등 총 '49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경북 예천에서 산사태로 인해 집이 무너지고 도로가 끊기는 등 많은 피해가 있었습니다.
또한 충북 금산에서는 수돗물이 끊기고, 청주 지하차도에서는 실종자 5명이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3. 2023년 7월 15일부터 현재까지 '3일간'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에서 '사망 24명, 실종 12명, 부상 15명' 등 총 '5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충북 괴산댐이 넘치면서 충주시 일부 지역에 대피령이 내려지고, 강원 원주에서는 홍수로 인해 선박이 전복되는 등 큰 피해가 있었습니다. 또한 태양광 난개발로 인한 산사태도 눈에 띄었습니다.
세계적인 장마 피해는?
1. '몬순'이란 특정 지역의 강수량과 바람의 방향을 결정하는 계절적인 기상 현상으로, 주로 인도양과 인접한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몬순은 '여름철'과 '겨울철'로 구분되는데, 여름철 몬순은 따뜻하고 습한 공기를 육지로 불어오게 하여 많은 비를 내리게 하고, 겨울철 몬순은 건조하고 차가운 공기를 바다로 불어가게 하여 건조한 계절을 만듭니다.
2. '2020년'에는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역대급 장마가 발생하여 47일간 지속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국에서 '사망 31명, 실종 11명, 부상 8명' 등 총 '5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농업, 산업, 교통 등에도 큰 피해가 있었습니다. 특히 섬진강댐 방류로 인해 전남 곡성ㆍ구례와 경남 하동이 물에 잠기는 등 심각한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3. '2021년'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역사적인 장마가 발생하여 수백만 명이 대피하고 수십 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습니다. 중국의 경우 7월 중순부터 중부와 동부 지역에 평균 강수량의 3배 이상의 비가 내려 헤난성 정저우시 등지에서 기록적인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일본의 경우 8월 초부터 서남부 지역에 폭우가 쏟아져 규슈섬에서 산사태와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4. '2023년'에는 미국과 남아메리카에서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2월 초부터 남부와 중부 지역에 극심한 한파와 폭설이 내려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교통이 마비되는 등 최악의 겨울 날씨 재난이 발생했습니다. 남아메리카의 경우 7월 말부터 태풍 '장미'의 영향으로 남부지방에 최대 300㎜의 비가 내려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했습니다.
rain의 영단어 어원은?
1. rain은 원래 영어에서는 명사로만 쓰였으며, 구름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을 의미했습니다. 이 단어는 영어 고대어인 reġn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원시 게르만어 *regną에서 왔습니다. 이 단어는 다른 게르만어권 언어들과도 유사하게 발전했습니다. 예를 들면, 독일어 Regen, 네덜란드어 regen, 스웨덴어 regen, 노르웨이어 regn 등입니다.
2. rain이라는 단어의 근원적인 어원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원시 인도유럽어 *Hreǵ-에서 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단어는 "흐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라틴어 rigō(젖다, 적시다), 리투아니아어 rõki(이슬비), 알바니아어 rrjedh(흐르다, 떨어지다)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가설은 음운학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3. rain이 동사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중세 영어 때부터입니다. 이 때부터 공기 속으로 떨어지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비유적으로 다른 것들이 공기 속으로 떨어지거나 쏟아지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영단어의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twave를 알아보자. (0) | 2023.07.17 |
---|---|
summer를 알아보자. (0) | 2023.07.17 |
evolution을 알아보자 (0) | 2023.07.16 |
deflation을 알아보자. (0) | 2023.07.15 |
inflation을 알아보자 (0) | 2023.07.15 |